오랜만에 지인 결혼식에 다녀왔어요, 코로나 때문에 식사는 못하고 오고, 간단하게 예식만 살짝 보고 왔는데요, 확실히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모습은 정말 안타깝습니다. 웨딩홀 들어가는 입구부터 QR코드, 방명록 작성, 온도체크, 손소독등등 정말 할 일이 많네요. 오늘은 결혼비용에서 커다란 축을 차지하는 결혼식 비용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평균결혼비용이 얼마 정도 드는지, 어디 어디에 돈을 써야 하는지, 절약하는 방법은 뭐가 있는지, 이 정도를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에는 간단한 요약본도 있으니 바쁘신 분들이라면 맨 아래로 내리셔서 보셔도 좋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내용은 확실한 정보가 아닌, 여러분의 선택이나 웨딩홀마다 특징 때문에 비용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점 참고해 주세요.
예식장 대여
예식장 대여는 천차만별로 가격이 달라지는데요, 완전 무료인데도 있는 곳에 비해 1500만 원대까지 비싼 예식장도 있답니다. 특히 고급 호텔을 예식장으로 사용한다면 대여 비용만 무려 5천만 원대가 나온다는 점, 유의하셔야 해요. 하지만 여기서는 일반적인 예식장 대여 비용은 평균적으로 약 5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겠네요. ? 다음으로는 예식장의 꽃장식과 기념 촬영 등이 있는데요, 꽃장식은 약 100~150만 원, 기념 촬영은 약 50만 원이랍니다. 예식장을 대여하고 장식을 마쳤다면 이제 본식에 들어가야겠지요?
본식 촬영에는 70만원,
본식에 입을 드레스와 치장할 메이크업은 거의 100만 원대에 달한다고 하네요. 이외에도 부케(15만 원), 청첩장 준비(50만원), 드레스 정비(5만 원)가 있는데요. 부케는 꼭 비싼 것으로 고를 필요는 없답니다. ? 또 혼주님께 드릴 한복(10만 원대), 신랑님 예복(100만원대), 반지 등의 물품도 준비해야 하는데요~ 반지가 신랑님, 신부님 두 분 다 사셨을시 400만 원은 가뿐히 넘는 가격이 나온답니다. 여기에 목걸이나 다른 액세서리까지 합친다면 500만 원이 넘는 비용이 소모되기도 하죠. ? 저는 여기서 한가지 추천해 드리고 싶은 방법이 있는데요. 결혼식 반지는 사실상 빠지지 않는 필수품이라 구매해야 한다고 해도, 목걸이나 기타 액세서리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때가 많답니다. 오죽하면 요즘에는 반지를 제외한 예물은 최소화시키는 경향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결혼비용이 부담되시는 분들은 목걸이 같은 예물, 예품의 비용을 최소화시키시거나 아예 사지 않으셔도 괜찮아요. 여기에 반지까지 비싼 반지가 아닌 평균적인 반지를 사신다면 150~200만 원 정도의 비용을 더욱 절약할 수 있을 거에요.
전체 결혼비용을 한번 합쳐볼까요?
예식장 대여(500만원), 예식장 장식과 촬영(200만 원), 본식 진행(750만 원, 예물 제외비용)해서 14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나오게 되네요! 만약 여기서 예물을 더하게 된다면 1600만 원대까지 비용이 솟을 수도 있어요.
1. 평균비용은 거의 1500만원 정도가 사용됩니다.
2. 예물이나 예복 등의 구매를 포기하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약 200만 원 이상) 어떠셨나요? 어느 정도 도움은 되셨을 거라고 생각해요. 일반 웨딩홀에서 결혼하는 것을 기준으로 평균결혼비용을 알아본 글이니, 호텔이나 컨벤션 같은 고급 웨딩홀에서 결혼식을 진행하신다면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답니다.
웨딩플래너 20~30%의 혼수 수수료, 워크인으로 평균결혼식비용 아껴보세요 | 직거래웨딩
평균결혼식비용 올라가는 건 이런 웨딩컨설팅 업체만을 통한 스드메 계약, 그리고 스드메 업체들은 낚인 고기 신부님들에게 엄청난 추가금 폭탄으로 수익을 보전 중인 것 같아요.
kgwed.com
'결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텔결혼식비용 결혼준비카페 통해서 세이브했어요 (0) | 2022.06.15 |
---|---|
스드메비용 다이렉트웨딩에서 절약했어요 (0) | 2022.06.06 |
가전은 LG 가 대세이지만 지점마다 다릅니다. (0) | 2022.06.04 |
웨딩비용체크리스트 엑셀 자동 계산기 공유 (0) | 2022.06.04 |
결혼준비비용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공유하면서 체크 (0) | 2022.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