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보도되는 내용처럼, 평균 퇴직 나이가 55세 정도라는데, 퇴직 후 일자리를 구하기가 참 쉽지 않은 현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60대, 70대 분들은 일자리 정보도 어디서 받아야 하는지 헷갈리실 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노인 일자리 사업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종류의 일자리가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신청하면 되는지 자세하게 소개해드릴게요.
노인 일자리 정보를 어디서 찾아볼 수 있나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운영하는 '노인일자리여기' 웹사이트는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에서 관리하는 사이트로, 전국의 노인 일자리 사업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어요. 또 서울시에서는 어르신 취업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각 지역의 시니어 클럽에서도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니, 이런 곳들을 잘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신청 조건
보통 만 60세 이상부터 신청이 가능하고, 건강 상태가 좋아서 실제로 일을 할 수 있어야 해요. 그리고 노인 독신가구나 경제무능력자와 함께 거주하는 분들은 우대받기도 합니다. 다만, 생계급여 수급자나 이미 다른 정부 지원 사업에 여러 번 참여한 경우는 신청이 제한될 수 있으니 이 부분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노인 일자리 사업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첫 번째는 공익활동형인데요, 이 경우에는 주로 기초연금 수급자들이 참여할 수 있고, 하루 3시간 이내, 월 30시간 이상 활동하면 월 29만원 정도의 활동비가 지급됩니다. 예를 들면 경로당 중식도우미, 노노케어 같은 일들이 이에 해당해요.
두 번째는 사회서비스형으로, 만 65세 이상이 대상이며, 근로계약에 따라 일하는 방식입니다. 월 60시간 정도 근무하고 월 76만원 정도의 급여를 받는데, 아이 돌봄 지원이나 공공기관 도우미 같은 일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세 번째는 시장형인데, 만 60세 이상이 대상이고 소규모 매장이나 택배, 세탁물 포장 등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해요. 근무 시간과 급여는 계약에 따라 달라집니다.
네 번째는 취업알선형으로, 시험감독관, 주유원, 단순노무직 등 여러 단순직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마지막 다섯 번째는 시니어 인턴십형으로, 기업 근로계약을 통해 버스 운전원, 조리사, 제조 종사자, 서비스직 등 다양한 직종에서 인턴십 형식으로 일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일자리 유형이 있으니, 여러분의 건강 상태나 선호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일자리 사업 구인 공고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먼저 '노인일자리여기' 사이트에 접속해서 거주하는 지역을 검색하세요. 기본 설정으로 강남구가 나오기도 하니, 꼭 시군구를 직접 입력해서 원하는 지역의 공고를 찾아보세요. 각 공고에는 모집하는 일자리의 종류와 마감일자, 그리고 간단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어요. 자세한 내용은 담당자 전화번호로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 방법은?
관심 있는 공고를 찾았다면, 해당 공고문에 기재된 수행기관이나 시, 군, 구 관할 기관에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문의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후 상담 및 면접을 진행하고, 선발 기준에 맞으면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후 활동하게 됩니다. 보통 공익활동형과 사회서비스형은 활동 기간이 10~12개월 정도로 진행되고, 대부분 12월 초에 공고가 나오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세요.
또한 서울시 어르신 취업지원센터 같은 경우는 일자리 상담이나 취업 준비 교육도 지원해주니, 구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각 지역의 시니어 클럽에 문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시니어 클럽은 전국 203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고, 한국시니어클럽협회 웹사이트에서 각 지역의 전화번호와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노인 일자리 사업의 정보와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퇴직 후에도 알맞은 일자리를 찾아서 경제적, 사회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많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한 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체국 영업시간 확인 하는 방법 (0) | 2025.02.26 |
---|---|
전기요금 계산 방법, 누진세 구간 (0) | 2025.02.25 |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비트코인을 거래하는 방법 (0) | 2024.12.27 |
KT 멤버십 혜택,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 (0) | 2024.12.15 |
주택담보대출 이자 소득공제 가능한 조건 (1)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