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에서도 카드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는 소식, “온누리상품권 카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 혹시 온누리상품권이라면 예전엔 지류 형태로만 써서 “매번 종이 쿠폰 들고 다녀야 돼? 불편해”라고 생각하신 분도 있으실 텐데, 이제는 카드형으로도 쓸 수 있고, 게다가 내가 이미 가지고 있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와 연동까지 가능하다니, 꽤 편리해졌더라고요.
온누리상품권 카드란?
먼저,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진 상품권이라는 건 다들 아시죠? 상시 10% 할인된 가격으로 살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분들은 꽤 이득을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9만 원만 내도 10만 원어치를 충전할 수 있다는 거니까요. 문제는 예전에는 “종이 쿠폰 들고 다니기 귀찮다, 모바일 결제는 잘 모르겠다” 이런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제는 카드형이 생겨서, 더 쉽고 편하게 결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용 방법
사용 방법이 좀 낯설 수도 있는데 사실 생각보다 간단해요. 먼저 ‘온누리상품권’ 앱이라는 걸 깔아야 합니다(‘온누리페이’와는 다른 앱이라는 점 주의). 앱을 설치하고 가입한 뒤, 내가 쓰고 싶은 은행 계좌를 등록해서 거기서 온누리상품권을 충전하는 형식이죠. 충전은 2백만 원까지 가능하고, 항상 10% 할인된 가격으로 결제해주니까, 예를 들어 9만 원 내면 10만 원이 충전되는 식이에요.
카드 등록
그리고 나서 “카드 등록”을 해야 합니다. 사실 “새 카드를 새로 발급”하는 게 아니라, 이미 갖고 있는 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온누리상품권 앱에 연동하는 개념이래요.
예를 들어 나는 KB국민카드를 쓰고 있다, 그럼 그 카드를 온누리상품권 앱에 등록해두면, 전통시장 같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그 카드로 결제할 때 자동으로 “내 온누리상품권 충전금액”이 먼저 차감되는 거예요. 만약 결제액이 내 충전금액보다 적으면 충전금에서 빠지고, 결제액이 더 크면 온누리상품권 충전금은 안 쓰이고 전액을 그냥 카드로 결제하게 됩니다. 이 부분 살짝 헷갈릴 수 있으니 “결제금액이 충전금보다 크면 전부 카드 결제가 된다”라는 것만 기억하시면 돼요.
가맹점 찾기
가맹점 찾기도 궁금하시죠? 온누리상품권 앱에서 “가맹점 찾기”를 눌러보면 내가 가려고 하는 시장이나 거리에서 어떤 매장이 온누리상품권을 받는지, 그리고 “어떤 카드가 되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더라고요.
어떤 매장은 예를 들어 신한카드는 되는데 농협카드는 안 된다거나, 반대인 경우도 있으니, 미리 확인해두면 갑자기 “왜 안 돼요?” 하고 당황할 일이 없겠죠. 또 가맹점마다 “온누리 결제 100+” “온누리 결제 10+” 이런 식으로 표기되어 있을 때가 있는데, 그건 “이 가게가 실제로 온누리상품권 결제를 여러 번 처리했었다”는 뜻이라, 보다 신뢰하고 갈 수 있다고 합니다.
결제 방식
결제할 땐 “저 온누리상품권 써요!” 하고 말할 필요가 전혀 없어요. 그냥 평소처럼 카드 긁으시면 되는데,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이면 결제 금액을 충전금에서 먼저 빼주거든요.
다만 결제 금액보다 남은 온누리상품권 충전금이 적으면 자동으로 전액 카드 결제로 넘어가니 주의하면 됩니다. “하나도 안 쓰이고 지나갔다?” 싶으면 ‘아, 내가 결제액보다 충전금이 적었구나’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모바일 결제 지원
또 좋은 점이, 삼성페이나 네이버페이+삼성페이처럼 모바일 결제(터치 결제)할 때도 “내가 연동해둔 카드”를 쓰면, 동일하게 온누리상품권 충전금이 먼저 차감된다는 거예요.
그래서 굳이 물리카드를 꺼낼 필요도 없고, 폰으로 탭 하듯 결제하면 되니 더 편하죠. 근데 이렇게 결제해도 카드사가 인식하기엔 “정상적인 카드 결제”로 잡히니, 카드 실적이 올라간다는 점도 이득이랍니다.
추가 혜택
마지막으로, 연말정산 때 전통시장 사용분은 소득공제율이 40%인 거 아시죠?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하면 이 혜택도 적용되니, 진짜 여러 모로 이득이 아닌가 싶어요.
온누리상품권 카드형은 사실상 “전통시장용 충전금”을 내 카드에 덧붙여 쓴다는 느낌이에요. 할인된 금액으로 미리 충전해두고, 전통시장 갈 때 아무 말 없이 결제만 하면 자동으로 차감돼서 너무 편하죠.
다만, 초보자 혹은 중장년층 분들께는 처음 앱 설치하고 계좌 등록하고 카드 연동까지 좀 복잡해 보일 수 있어요. 그러니까 한 번 천천히 설정만 해두면, 그 다음부턴 굉장히 간단합니다.
여러분도 만약 전통시장을 종종 가거나, 전통시장에서 장을 많이 보시는 분이라면, 온누리상품권 카드형으로 할인 혜택도 받고, 결제도 편리하게 해보시길 추천드려요.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직구를 위한 영문주소 변환하는 방법, 영문주소 변환 사이트 (0) | 2025.02.23 |
---|---|
kt 인터넷, TV 약정기간 확인, 해지 위약금 조회 방법 (0) | 2025.02.23 |
삼성 휴대폰 주말 & 공휴일 AS 수리 센터 이용 방법 (0) | 2025.02.23 |
내 모니터 PPI 텍스트 정확도, 픽셀 밀도 계산기 바로 측정 가능한 사이트 (0) | 2025.02.18 |
달라진 아이폰 15 누구에게 추천할까?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