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주택담보대출 이자 소득공제 가능한 조건

by Gadget 2024. 12. 14.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가 연말정산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이자 소득공제를 받은 후기를 공유해드립니다. 사실 처음엔 조금 복잡하게 느껴졌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준비하다 보니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어요. 혹시 주담대를 이용하고 계신 분이라면 제 후기를 참고해서 소득공제 꼼꼼히 챙기세요! 

1. 주담대 소득공제 대상이 되는지부터 체크하기

저는 1주택자인 세대주예요. 이번 연말정산에서 확인해보니, 2024년 귀속 연말정산부터는 공제 대상이 좀 더 넓어졌더라고요. 예전엔 기준시가 5억 원 이하 주택만 공제가 가능했는데, 이제는 6억 원 이하 주택도 공제 대상에 포함됐어요.

 

그리고 중요한 점! 소득공제는 이자 상환액만 가능하다는 거예요. 주담대를 상환하면서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고 있는데, 원금 부분은 공제 대상이 아니니 계산할 때 헷갈리면 안 돼요. 그리고 연체이자는 공제되지 않으니 연체 관리도 필수랍니다. 

2. 세대원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을까?

제가 알아보니, 만약 세대주가 소득공제를 받지 않는다면 세대원도 공제가 가능하더라고요. 하지만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세대원이 공제를 받으려면 해당 주택의 실제 소유자가 세대원이어야 하고, 대출도 세대원 명의로 되어 있어야 해요. 그래서 세대주인 남편이 공제를 안 받더라도, 주택이 남편 명의라면 세대원인 아내는 공제를 받을 수 없어요.

저는 세대주라 세대원 조건은 해당되지 않았지만, 이 부분은 잘 알아두는 게 좋을 것 같아요.

3. 공제 금액과 한도 계산하기

이제 공제 한도를 확인해볼 차례! 주담대의 상환기간과 조건에 따라 공제 한도가 다릅니다.

  • 상환기간 15년 이상, 고정금리 + 비거치식 대출: 최대 2,000만 원
  • 10년 이상, 고정금리 또는 비거치식: 최대 1,800만 원
  • 기타 주담대: 최대 800만 원

제가 이용한 주담대는 상환기간 15년 이상에 고정금리 + 비거치식이라, 최대 2,000만 원 한도까지 가능했어요. 다만, 다른 주택 관련 공제 금액(주택임차차입금, 주택마련저축 등)과 한도를 합쳐서 2,000만 원까지만 가능하니, 전체적으로 꼼꼼히 따져봐야 해요.

4. 분양권 중도금 대출도 공제 가능할까?

친구가 중도금 대출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하길래 알아봤는데, 무주택 세대주가 6억 원 이하 분양권을 취득하고, 주택 완공 후 주담대로 전환할 조건이라면 공제가 가능해요, 여기서 중요한 건 주택 소유권 보존등기일까지의 이자만 공제된다는 점이에요. 분양권 소유자는 이 점 꼭 확인하세요!

5. 필요한 서류 준비

소득공제를 받으려면 서류 준비가 필수인데요,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알려드릴게요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증명서: 이건 은행에서 발급받았어요. 주담대 상품에 대한 이자 상환 내역이 확인돼요.
  • 주민등록표 등본: 세대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해요.
  • 등기부등본: 주택 소유를 증명하기 위한 서류랍니다.
  • 개별(공동)주택가격 확인서: 기준시가를 증명하기 위해 발급받았어요.

 

서류 준비를 마치고 홈택스에 제출했더니 문제없이 공제가 적용됐어요. 다행히 서류가 잘 정리돼 있어서 금방 끝났답니다.

 

주택담보대출을 상환 중이시라면, 연말정산에서 이자 소득공제를 꼭 챙기세요! 저는 이번 공제로 세금을 꽤 아껴서 정말 뿌듯했어요. 공제 조건이나 서류 준비가 처음엔 조금 까다롭게 느껴질 수 있지만, 차근차근 준비하면 어렵지 않아요.

이제 여러분도 주담대 소득공제 챙겨서 더 많은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